Chapter 1 · Spotfire 개요
01 프로그램 설치 방법
02 프로그램 스타트/로그인
03 사용자 인터페이스
3-1 초기 화면구성
3-2 데이터 로딩 직후 화면 구성
3-3 시각화 작성 후 화면 구성
04 데이터 로드
4-1 -최초 데이터 로드방법
4-2 기존 데이터에 추가 로드하기
4-3 데이터 타입에 따른 로드 후 화면
05 결과물 저장 및 불러오기
06 태그
Chapter 2 · Spotfire 기본 사용법
01 필터링
1-1 여러 데이터 테이블에서의 필터링
1-2 필터링 적용 여부 확인
1-3 필터 패널의 종류
1-4 전체 필터 중에서 원하는 컬럼 쉽게 찾기
1-5 Spotfire 필터 내에서의 값의 검색
02 마킹
2-1 마킹의 색상
2-2 단일 항목의 마킹
2-3 여러 항목의 마킹
2-4 범례를 사용한 마킹
2-5 모든 마킹 해제
03 데이터 형식
3-1 변수
04 내보내기
4-1 이미지로 내보내기
4-2 데이터에서 파일로 내보내기
4-3 MS PowerPoint 로 내보내기
4-4 PDF로 내보내기
4-5 내보낼 대상 설정
05 필터링 스키마
5-1 필터링 스키마 이용방법
5-2 새로 만들어진 필터링 스키마의 확인방법
5-3 각 페이지마다 다른 필터링 스키마를 적용하는 방법
5-4 한 페이지 안에서 시각화마다 서로 다른 필터링 스키마를 적용하는 방법
06 분석의 데이터
6-1 분석의 데이터 시작하기
6-2 분석의 데이터 컬럼을 시각화에 이용하기
6-3 분석의 데이터에서 필터링 하기
6-4 분석의 데이터 내에서 섹션 이동하기
6-5 분석의 데이터의 필터링 상황창 활용하기
6-6 분석의 데이터 확장(추천 및 상세정보)
07 하위 집합
7-1 현재 필터링 값과 현재 필터링에 없음 값 비교
7-2 마킹 값과 마킹에 없음 값 비교
Chapter 3 · 시각화 차트
01 테이블
1-1 테이블 그리기
1-2 마킹
1-3 컬럼 타이틀을 통한 설정
1-4 이동
1-5 행 전체 값의 값 복사
1-6 특정한 셀의 값 복사
1-7 값 바꾸기
1-8 속성 설정
02 막대 그래프
2-1 막대그래프 그리지
2-2 막대그래프의 모양 설정
2-3 집계 컬럼과 형식을 변경하기
2-4 연속성 범주 축( )
2-5 막대 그래프의 폭 조절하기
2-6 값 축에서 컬럼을 여러 개 사용하기
2-7 막대 또는 막대 세그먼트 마킹 하기
2-8 막대 그래프에서 참조선 추가하기
2-9 상세 정보 시각화 만들기
2-10 Y축에 다중 척도 사용하기
2-11 속성 설정
03 선 그래프
3-1 선 그래프 그리기
3-2 마크하기
3-3 속성 설정
04 파이 그래프
4-1 파이 그래프 그리기
4-2 속성 설정
05 폭포 차트
5-1 폭포 차트 그리기
5-2 속성 설정
06 산점도
6-1 산점도 그리기
6-2 산점도의 해석
6-3 속성 설정
07 3D 산점도
7-1 3D 산점도 그리기
08 트리맵
8-1 트리맵 그리기
8-2 알고리즘
8-3 계층구조
8-4 속성 설정
09 크로스 테이블
9-1 크로스 테이블 그리기
9-2 축 레이블 이미지 설정
9-3 서식 지정
9-4 속성 설정
10 콤비네이션 차트
10-1 콤비네이션 차트 그리기
10-2 속성 설정
11 히트맵
11-1 히트맵 그리기
11-2 데이터 형석에 따른 표시방법
11-3 계통수
11-4 히트맵의 응용
12 그래픽 테이블
12-1 테이블 그,리기
12-2 속성 설정
13 요약 테이블
13-1 요약테이블 그리기
13-2 속성 설정
14 KPI 차트
14-1 KPI 차트 그리기
14-2 속성 설정
15 평행 좌표 그래프
15-1 평행좌표 그래프 그리기
15-2 속성 설정
16 맵 차트
16-1 맵 차트 그리기
16-2 배경지식
16-3 맵 차트 개념
16-4 맵 차트 기본메뉴 사용법
16-5 맵 차트 구현하기
Chapter 4 · 데이터 핸들링
01 데이터 기본
1-1 마킹 데이터 핸들링
1-2 계상된 컬럼 추가
1-3 함 컬럼 추가
1-4 계층 추가
1-5 데이터 다시 로드
1-6 데이터 테이블 속성
1-7 컬럼 속성
1-8 문서 속성
1-9 데이터 테이블 자동 일치
1-10 기본 데이터 테이블
02 데이터 캔버스
2-1 데이터 바꾸기
2-2 행 추가
2-3 열 추가
03 데이터 변환
3-1 데이터 변환 적용 시점
3-2 데이터 변환 방법
Chapter 5 · 기본 통계
01 라인 & 곡선
1-1 속성 설정
02 데이터 상관성 분석
2-1 선형 회귀
2-2 스피어만 상관계수
2-3 변량 분석
2-4 크러스컬 – 윌리스
2-5 카이 제곱
03 K-평균 군집분석
04 계층적 군집분석
4-1 도구에서 사용
4-2 히트맵에서 사용
4-3 계층적 군집분석 따라하기
05 라인 유사성
5-1 라인 유사성 계산 알고리즘
5-2 라인 유사성의 제약조건
5-3 라인 유사성의 사용용도
5-4 라인 유사성 따라하기
06 상자 그래프
6-1 상자 그래프 그리기
6-2 각 부분의 의미
6-3 통계 관련 용어 설명
6-4 Spotfire 상자 그래프의 표시 정보
6-5 Spotfire에서 제공하는 각종 집계 방법
6-6 상자 그래프의 해석
6-7 비교 원
6-8 속성 설정
부록: Spotfire 7.x버전 메뉴를 Spotfire 10.x버전에서 찾기
찾아보기
A. Spotfire 설치 및 설정 1. Meta Database 생성 2. Spotfire Server 설치 3. Spotfire Server Config 설정 4. Spotfire Node Manager 설치 5. Spotfire Analyst 설치 6. Server와 Node Manager 연결 1. Spotfire Server 시작 및 Web 접속 2. Spotfire Analyst를 사용한 Local 접속 B. Spotfire Server 접속 1. Dxp 파일 열기 2. 데이터 불러오기 및 Dxp 생성 3. Table 4. Cross Table 5. Graphical Table 6. Line Chart 7. Bar Chart 8. Combination Chart 9. Pie Chart 10. Summary Table 11. Scatter Plot 12. 3D Scatter Plot 13. Map Chart 14. Tree Map 15. Heat Map 16. Waterfall Chart 17. KPI Chart 18. Parallel Coordinate Plot 19. Box Plot 20. Filtering 21. Data Marking 22. Drill-Down 23. Text Area C. Spotfire 기능 1. Relation 2. Join 3. Calculated Column 4. Binned Column 5. Hierarchy 6. Transformation 7. Aggregation 8. Custom Expression 9. Column Properties 10. Bookmarks D. 기타 Oracle 설치 및 접속 DGB 생명 대응 사항
대략 이러한 순서대로 기술 예정이고, 부분부분 추가수정 하겠습니다
'Tibco > spotFi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otfire 일일 학습 기록 게시글 (0) | 2021.08.19 |
---|